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공임대주택 월세·보증금 계산법 총정리

by cansucceed 2025. 2. 25.

공공임대주택 월세, 보증금 계산

공공임대주택은 시세보다 저렴한 월세와 보증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주거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임대 유형마다 월세와 보증금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경제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공임대주택의 월세 및 보증금 계산법을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공공임대주택 보증금과 월세의 관계

공공임대주택은 기본적으로 보증금과 월세가 함께 책정됩니다. 보증금이 높을수록 월세 부담이 낮아지고, 반대로 보증금이 낮으면 월세 부담이 커지는 구조입니다.

주택 유형별 기본적인 월세·보증금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영구임대주택: 보증금이 적고 월세도 낮음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 ✅ 국민임대주택: 보증금과 월세 조정 가능 (중위소득 70% 이하 가구)
  • ✅ 행복주택: 입주자의 선택에 따라 보증금과 월세 조정 가능
  • ✅ 10년 공공임대주택: 민간과 비슷한 방식으로 책정되지만 시세보다 저렴

👉 즉, 같은 평수라도 보증금을 더 많이 납부하면 월세가 낮아지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공공임대주택 월세 계산법

공공임대주택의 월세는 기본적으로 공급가액(건설비)과 시세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① 영구임대주택 월세 계산법

  • 월세 = (공급가액 × 적용 이자율) / 12개월
  • 평균 월세: 5~10만 원 수준
  • 보증금: 200만 원~1,000만 원 정도

예를 들어 공급가액이 5,000만 원이고 적용 이자율이 2%라면,

👉 월세 = (5,000만 원 × 2%) ÷ 12개월 = 약 8만 원

② 국민임대주택 월세 계산법

  • 월세 = [(건설 원가 × 기준 임대료율) - 선택 보증금] / 12개월
  •  평균 월세: 10~30만 원 수준
  • 보증금: 1,000만 원~3,000만 원 (선택 가능)

예를 들어, 건설 원가가 1억 원이고 기준 임대료율이 4%라면,

👉 월세 = (1억 원 × 4%) ÷ 12개월 = 약 33만 원

하지만 보증금을 2,000만 원 더 납부하면, 월세가 20만 원대로 줄어듭니다.

 ③ 행복주택 월세 계산법

  • 월세 = (시세 대비 할인된 임대료) - 선택 보증금 조정액
  • 평균 월세: 15~40만 원 수준
  •  보증금: 500만 원~4,500만 원 (입주자가 선택)

④ 10년 공공임대주택 월세 계산법

👉 시세 대비 80~90% 수준의 월세

 

3. 공공임대주택 보증금 조정 방법

공공임대주택은 기본적으로 보증금과 월세를 조정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보증금을 높이면 월세가 줄어듦

  보증금을 낮추면 초기 부담은 줄지만 월세가 높아짐

 

예를 들어, 국민임대주택의 경우 기본 보증금이 2,000만 원이고 월세가 30만 원일 때,

👉 보증금을 4,000만 원으로 올리면 월세가 20만 원대로 조정 가능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SH(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 시 보증금 조정 옵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공공임대주택의 월세와 보증금은 주택 유형과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증금을 많이 낼수록 월세 부담이 줄어들고, 보증금이 적을수록 초기 비용이 적지만 월세가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본인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