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 월급으로 가능한 공공임대 시뮬레이션

by cansucceed 2025. 7. 24.

 

내 월급으로 가능한 공공임대

“지금 내 소득으로는 과연 어떤 공공임대주택에 들어갈 수 있을까?” 이런 고민,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월세는 계속 오르고, 전세는 목돈이 필요하고, 집값은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시대.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공임대주택을 고려하지만, 내가 과연 대상이 되는지, 가능성이 있는지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실질적으로 ‘내 월급으로 어떤 공공임대에 들어갈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해 보세요.

 

1. 내 소득 수준 확인하기 (3인 가구 기준)

공공임대 신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 기준’입니다. LH에서는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70% 이하, 100% 이하 등 임대유형별 소득 상한선을 정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3인 가구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약 493만 원입니다.

  • 영구임대: 70% 이하 → 약 345만 원
  • 국민임대: 50~100% → 약 246만 원~493만 원
  • 행복주택: 청년/신혼부부 기준 소득 100~120%까지 허용

예를 들어, 세후 월 260만 원을 받는 30대 직장인 가장이 3인 가족이라면,

  • 영구임대: 가능 (소득 70% 이하)
  • 국민임대: 가능 (소득 100% 이하)
  • 행복주택: 가능 (청년·신혼 기준 해당 시)

즉, 생각보다 넓은 소득 범위에서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다만 자산 기준(총 자산 3억 6천만 원 이하,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등)도 함께 적용되므로 체크가 필요합니다.

 

2. 내가 받을 수 있는 임대 유형별 조건 비교

공공임대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는데, 어떤 유형이 내 상황에 맞는지가 중요합니다. 아래는 세후 월 소득 260만 원인 3인 가구 가장이 받을 수 있는 임대 유형과 조건입니다.

임대유형 자격요건 보증금 / 월세 거주기간
영구임대 기초수급자 또는 우선계층 보증금 300~500만 / 월세 8~15만 제한 없음
국민임대 월 소득 중하위층 보증금 1,000~3,000만 / 월세 20~40만 최대 30년
행복주택 청년·신혼·고령자 등 보증금 500~2,000만 / 월세 15~35만 최대 6~20년
매입임대 기존주택 임대 보증금 200~800만 / 월세 10~25만 2년 단위 갱신 가능

같은 소득이라도 가구 형태, 연령, 직업, 자녀 유무 등에 따라 지원 가능한 유형이 달라집니다. 또한 지역마다 임대료가 차이 나며, 신축 단지일수록 보증금은 다소 높지만 시설과 위치는 더 좋습니다.

 

3. 실제 사례로 보는 시뮬레이션

사례 1. 월급 220만 원, 1인가구 직장인(30세, 무주택)
→ 행복주택(청년형), 매입임대(일반형) 가능
→ 수도권 기준 보증금 400만 원 / 월세 18만 원 내외 가능

 

사례 2. 월급 280만 원, 신혼부부(2인가구)
→ 국민임대, 행복주택(신혼부부형), 신혼희망타운 일부 가능
→ 경기권 기준 보증금 1,500만 원 / 월세 25~30만 원 수준 예상

 

사례 3. 월급 300만 원, 4인가구, 자녀 2명
→ 국민임대 85㎡ 이하형 가능
→ 지방 기준 보증금 2,000만 원 / 월세 30만 원대 입주 가능

이처럼 나의 월급만으로도 적정한 주거 수준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단, 신청 시기, 우선순위 여부, 지역별 공급 여부에 따라 실제 당첨 여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 미리 시뮬레이션해 보자

공공임대는 막연히 "소득이 낮아야만 가능하다"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소득 100% 또는 그 이상까지도 신청 가능한 유형이 다양합니다. 중요한 건 내 월급, 내 가구 형태, 지역, 자격을 기준으로 하나하나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LH청약센터(https://apply.lh.or.kr)나 SH공사 사이트에 들어가면 ‘임대주택 자가진단’ 기능도 있으니 꼭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한 번의 시뮬레이션이 내 월급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집다운 집’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